최근의 의대입시에서 가장 큰 변화는 장학금제도가 활성화되었다는 점이고 일반 대중들에게도 이 사실이 널리 알려지게 된 계기는 2019년도에 NYU 의대가 전교생에게 수업료를 면제해 주는 장학제도를 미국의 모든 매스컴에서 헤드라인 뉴스로 대서특필 했기 때문이다. 그 이전에도 의대 전액 장학금제도는 존재했지만 전교생을 상대로 한 장학제도는 NYU 의대가 처음으로 선보였기 때문에 그 파급효과는 엄청나게 컸고 NYU 의대의 인기와 명성은 단숨에 수직상승 하는 게 당연해 보였으며 그 이후에 유사한 장학제도들이 계속 실행되고 있는데 유독 하버드 의대는 장학금을 제공하지 않는 모양새를 취하고 있다 보니 매년 하버드 의대에 진학시키는 학생들의 부모님들에게 설명하는 내용을 다른 여러 가정에도 소개하여 의대입시를 준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하버드 의대를 학생들은 줄여서 HMS(Harvard Medical School) 라고 부르고 있는데 그 명성은 하버드 대학보다 더 뛰어나다. 그 이유로 하버드 대학은 매년 약 1,600 명의 신입생을 받아들이고 있지만 HMS는 매년 165명의 신입생만을 받아들이고 있는 것이 물리적인 이유이고 이와 더불어 최고 명문대학인 하버드 대학출신의 프리메드 학생들에게도 꿈만 같은 목표인 의대이며 공부만 잘 해서는 절대로 진학할 수 없는 의대라는 점이 눈에 보이지 않는 핵심적인 이유로 꼽을 수 있겠다. 그 눈에 보이지 않는 핵심적인 이유는 차세대 의료계의 리더로서 갖춰야 할 모든 덕목을 골고루 갖추고 있어야 하겠고 특히 강조되는 부분은 사회적 약자를 돕고자 하는 진정한 리더의 모습을 이미 갖추고 있는 학생을 선발하고자 추구하고 있고 그런 학생은 장학금 아닌 장학금까지도 제공하며 선발하고자 노력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외부적으로 HMS는 가정형편에 따른 학자금 지원제도, 즉 Financial Aid Program 만 있지 Merit Scholarship은 없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 학자금 지원제도를 통해 융자를 받아야 의대에 진학할 수 있는 가정의 학생들 중에 사회적 약자를 도우면서 사회에 이바지 할 의사로 성장할 가능성이 큰 학생들에게는 Dean’s REACH Scholarship이라는 장학금 아닌 장학금을 제공하겠으니 장학금 많이 주겠다는 다른 의대에 진학하지 말고 HMS에 진학하라고 합격소식을 전하며 REACH Scholarship 수여대상이라고 알려주고 있다. 굳이 스칼러쉽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는데도 장학금 아닌 장학금이라고 표현하는 이유가 바로 학자금 지원을 신청한 학생들 중에 가정형편을 고려하여 그 액수를 정해서 나중에 알려주는 제도이기 때문에 좀 더 정확한 명칭은 Financial Aid Grant가 맞으나 장학금의 의미도 충분히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버드 의대에 합격한 학생들은 다른 의대에서 장학금을 많이 제공하며 확보하려고 노력하므로 합격생 중에 재정적인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REACH가 의미하듯 Recognizing Excellence, Achievement, Compassion, and Helping 이라는 가치에 어울리는 모습을 갖춘 학생에게는 필요한 학비를 융자가 아닌 갚지 않아도 되는 무상지원금으로 제공해 주므로 장학금 아닌 장학금이라는 것이 가장 적합한 표현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 REACH 장학금의 혜택은 다른 의대들이 제공하는 장학금 혜택과 비교하면 어떤 모습일까? HMS가 공식적으로 그 기준을 밝히고 있지는 않지만 매년 HMS에 학생들을 진학시키며 지켜본 결과를 토대로 유추하자면 연소득이 약 35만불 수준인 가정도 거의 학비 절반에 달하는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보이니 그리 나쁘지 않다. 작년부터 Johns Hopkins 의대가 연소득이 30만불 이하인 가정의 학생에게는 학비를 전액 면제해주고 그 이상인 가정은 상황에 맞는 지원을 해주는 장학제도를 도입한 것도 경쟁상대인 HMS의 REACH Scholarship을 염두에 둔 정책이라고 보인다. 하지만 HMS의 REACH 장학금의 특성은 REACH 중에 특히 Compassion과 Helping이며 HMS가 학생을 선발하는 중요한 기준이라는 점이 오늘 소개하는 내용의 핵심사항이다. REACH 중에 Recognizing Excellence와 Achievement, 즉 학생이 이루어 낸 뛰어난 성취는 일부 의대에는 합격 시켜주는 요소가 될 수는 있지만 대다수의 명문의대에 합격하기에는 부족한 요소이고 측은지심이라고 표현할 수 있는 힘든 사람을 이해하고 도움을 주는 모습을 갖춘 학생만이 명문의대에 합격하는 것과 동시에 전액 장학금도 기대해 볼 수 있는 학생이라는 점을 명심하자. 명문의대에 지원한 학생들 중에 공부 잘 하는 학생은 특징이 될 수 없는데도 일부 프리메드 학생들은 학점관리와 MCAT 고득점에 사활을 걸고 있어서 안타깝다. 공부도 완벽하고 측은지심도 갖고 있는 학생이면 가장 좋은 결과가 보장되지만 공부가 조금 모자라더라도 Compassion과 Helping을 갖춘 학생이라면 HMS를 비롯한 명문의대에 장학금 받으며 진학할 수도 있고 실제로 3.8대의 학점과 MCAT 518점으로도 HMS에 진학시킨 학생이 여러 명 되니 참고하기 바란다.

의대생이 갖춰야 할 중요한 덕목에 대한 각 의대의 기준은 다르지만 HMS의 기준을 알면 도움이 되리라 믿는다.

남 경윤 / 의대 진학 전문 멘토
201-983-2851
kyNam@GradPrepAcademy.com

03/28/2025

03/21/2025

03/14/2025

03/07/2025

02/28/2025

FAQ

FAQ

FAQ

Receive the latest column

Subscribe To Our biweekly Newsletter

구독신청(무료) 하시면 미국에서 의대보내기, 세미나안내 등 다양한 정보를 직접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