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1월부터 9월 사이에 약 30회 정도 제공되는 MCAT을 보기위해서는 시험을 신청하는 과정도 쉽지 않지만 시험을 준비하다 계획을 수정해서 나중에 시험을 보기로 결정하는 학생이 많기로도 잘 알려진 시험이므로 오늘은 시험일정을 변경해야만 할 때 참고하면 도움이 될 사항들에 대해 소개하겠다.

2024년 1월부터 6월 사이에 MCAT을 보기 원하는 학생들이 시험을 등록할 수 있게 된 것은 불과 일주일 전인 2023년 10월 24일부터 이다. 이 날 시험등록을 하기 위해 학생들은 적게는 한시간 혹은 그 이상의 시간을 기다렸다 등록할 수 있었으니 대도시의 접근이 편한 시험장들은 거의 모두 더 이상 가능한 자리가 없다고 보면 크게 틀리지 않을 것이다. 특히 1월과 3월에 시험을 보기 원하는 학생이라면 우리 한인들이 밀집해서 거주하는 지역에 등록하는 것은 어려우니 대기자 명단에 이름을 올리고 꾸준히 기회를 보며 기다려야 하겠다. 대도시 지역이 아니라면 아직 자리가 남아있을 수도 있으니 특별히 시험을 봐야 할 날짜를 계획한 학생이라면 해당 날짜에 먼 곳에 있는 시험장이라도 일단 등록을 해놓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왜냐하면 MCAT은 워낙 많은 학생들이 중도에 시험일정을 변경하므로 기다리면 원하는 시험장에서 원하는 날짜에 시험을 볼 수 있을 확률이 매우 높기도 하고 운이 좋으면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시험일정이나 장소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

Rescheduling이라고 표현하는 일정변경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60 Day Deadline, 30 Day Deadline, 그리고 10 Day Deadline을 이해해야 하는데 정해진 시험날짜 며칠 전에 변경을 하는지에 따라 비용이 달라지고 환불액이 달라지기도 하며 변경이 불가능해지기도 하니 이 세가지 마감일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감일들 중에 가장 중요한 건 10 Day Deadline인데 시험일 10일 이전까지 시험날짜나 장소를 변경하지 않으면 그 이후에는 변경이 불가능하며 환불도 전혀 받지 못한다. 예를 들어 내년 들어 첫번째 MCAT이 시행되는 2024년 1월 12일에 시험을 보기로 등록한 학생이 2024년 1월 2일에 준비가 덜 된 기분이 들어 시험을 3월22일로 미룬다면 시험을 등록하며 지불한 $335의 비용 외에 추가로 Rescheduling Fee $200을 지불해야만 하는데 만일 시험을 미루기로 마음먹은 시기가 12월 13일이라면 $100을 추가로 지불해야 하고 그 시기가 11월 13일 이전이라면 $50을 추가로 지불해야 한다. 다시 정리하자면 시험보기 60일 이전에 일정을 변경하면 $50을 추가로 지불하면 되고 30일에서 59일 이전이라면 $100을 추가로 지불하면 되며 10일에서 29일 이전이라면 $200을 추가로 지불하며 시험을 볼 날짜나 장소를 변경할 수 있으니 반드시 변경을 해야만 한다면 결정을 내리는 순간 지체없이 일정변경을 신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Rescheduling을 결정한 순간에 언제 어디서 시험을 봐야할 지 결정을 내릴 수 없다면 환불을 신청할 수도 있는데 이는 30일 이전에 신청한 경우에 한해서 동일하게 $165을 돌려받을 수 있다. 1월 12일 시험을 보기로 등록했다가 나중에 보기로 12월 13일 이전에 시험을 취소했다면 시험등록비 $335 중에 $165을 돌려받으므로 $170을 지출한 셈이지만 12월 14일이나 그 이후에 시험을 취소한다면 환불을 받지 못한다는 점을 알고 있어야 하겠다.

간혹 $200을 지불하며 굳이 시험장소나 날짜를 변경하는 의미가 있냐는 질문을 받기도 하는데 필요하다면 변경하는 것이 현명하다는 의견을 밝힌다. 평생 7번만 볼 수 있는 시험이기도 하지만 시험 당일의 준비상태는 물론이고 그 날 아침에 장거리를 이동해서 피곤한 상태로 이 중요한 시험을 보는 것은 말리고 싶기 때문에 집 가까운 곳에서 시험준비가 충분히 된 상태에서 시험을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싶다. 더 중요한 사항은 시험보기 30일 이내에 시험일정을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시험을 취소하기로 하는 경우에 어차피 환불을 전혀 받지 못하므로 시험을 취소도 하지 않고 시험장에 가지도 않는 경우는 절대로 없어야 하겠다. 이는 No Show로 간주되어 평생 볼 수 있는 7번의 기회 중에 한번의 기회를 날려버리는 일이기 때문이다. 평생 6번도 많은 기회이니 굳이 취소를 하지 않는 것이 큰 일로 여겨지지 않는다면 일년에 3번만 볼 수 있다는 점과 2년에 4번만 볼 수 있다는 점도 감안하자. 즉, 한번의 No Show가 있는 학생은 그 해의 1월부터 9월 사이에 MCAT을 2번까지 볼 수 있고 그 다음 해에 만일 추가로 시험을 봐야만 한다면 단 한번의 기회만 가질 수 있으니 심리적으로 불안해져서 제 실력을 발휘하지 못할 수도 있게 되니 시험을 볼 준비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이 되면 일정을 변경하거나 제대로 취소를 해서 불필요하게 기회를 낭비하는 것은 피하기 바란다. 만일 취소하며 환불을 못 받는 경우에 처한다면 가서 시험을 보고 성적을 Void 시키면 한번의 기회를 낭비하는 것이 아니고 실제 시험이 어떻게 나오는지 직접 경험하는 기회로 나마 활용할 수 있다.

착하게 자란 자녀들이 MCAT 등록에 지불되는 금액을 크게 생각하고 부모에게 폐를 끼치지 않으려고 무리해서 시험을 보는 경우가 있는데 착한 것이 현명하지 못한 것과 다른 것이라고 미리 알려주면 도움이 되겠다.

남 경윤 / 의대 진학 전문 멘토
201-983-2851
kyNam@GradPrepAcademy.com

[744] 12월이 되었으니 이제 의대입시 인터뷰는 마무리 단계인가요?

12/01/2023

2023년이 한달 밖에 남지 않은 시점이 되니 이번 사이클에 의대에 도전하고 있는 학생들과 가족들은 마음이 바빠지고 있다. 하지만 연말이 되었다고 해서 입시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생각할 필요는 없다는 사실을 전하고 싶고 아울러 지금 이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는지가 이번 사이클의 의대입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끝까지 긴장을 늦추지 않아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
컴퓨터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인간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인공지능을 의미하는 AI(Artificial Intelligence)가 우리 인류의 삶을 편리하고 풍요롭게 만들어 줄 지 아니면 인류의 미래에 큰 위협이 될 지를 단언할 수는 없지만 ChatGPT가 대중에게 소개된 이후로 그 논쟁은 더욱 거세지고 있으며 의대에 진학하기 원하는 자녀를 둔 가정에서는 과연 이 새로운 기술이 의사라는 직업에 어떤 영향을 줄 지에 대해 큰 관심을 갖게 하므로 오늘날 의학계가 AI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소개하여 각 가정에서 제대로 된 예측과 판단을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요즘은 의대에 전액 장학금을 받으며 진학한 학생이 있다고 하면 대부분의 한인 가정에서는 익숙하게 받아들이는 공공연한 사실이 되어 있지만 불과 3년전만 해도 그런 내용을 소개하면 없는 말을 지어낸다는 악성 댓글을 여러 차례 받곤 했다. 그렇다고 전액 장학금을 받으며 의대에 진학하는 일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당연한 혜택이라는 의미는 아니지만 최근 나름대로 열심히 준비하는 우리 한인 프리메드 학생들에게는 전액 장학금을 받으며 의대에 진학하겠다는 새로운 목표가 생겼다는 반가운 소식이 자주 들려온다. 하지만 제대로 된 방향설정을 하지 못하면 오히려 불필요한 영역에서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하는 일이 발생하는 안타까운 일이 생길까 우려가 되어 최근 한 가정과 나눈 대화를 소개하여 다른 한인 가정들에게도 주의를 당부하고자 한다. ...
우리가 일반적으로 의대라는 표현을 할 때는 MD School을 의미하지만 미국에는 MD School 외에 DO School이라는 의대도 존재하기에 미국의 프리메드 학생들은 한국의 학생들보다 의대 진학에 있어 선택의 폭이 더 넓다. 하지만 MD School과 DO School의 차이점들 중에 학생들이 가장 큰 관심을 보이는 부분은 아무래도 졸업 후에 전공의 수련을 받을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선택할 때 불이익을 받지 않을지에 대한 우려이니 실제 자료를 소개하며 정확한 사실을 알려서 불필요한 걱정을 없애고자 한다. ...
10월말이 되면 의대에 합격한 가정들이 속출하게 되는데 합격통지를 받으면 요구되는 Enrollment Deposit이 마음을 무겁게 한다. 그 액수가 커서가 아니라 그 의대에 디파짓을 내면 혹시 다른 의대에 합격해도 디파짓을 이미 낸 의대에 진학해야만 하는 건 아닌지 걱정이 되기 때문인데 그런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물론 의대도 종류에 따라 디파짓 액수와 회수 가능성이 다르므로 오늘은 합격한 이후에 디파짓을 할 지 여부를 결정할 기준을 소개하여 마냥 기뻐야 할 합격의 순간을 망치는 일을 방지하고자 한다. ...

FAQ

FAQ

FAQ

Receive the latest column

Subscribe To Our biweekly Newsletter

구독신청(무료) 하시면 미국에서 의대보내기, 세미나안내 등 다양한 정보를 직접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