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부터 정확히 밝히자면 절대로 유리하지 않다. 의대 지원서에 자신의 인종을 적지 않고 제출하면 오히려 불리해질 확률은 존재하지만 유리해질 가능성은 전혀 없으니 제발 그런 시도는 생각조차 하지 말기 바란다. 도무지 누가 그런 헛소문을 퍼트리고 다니는지 모르겠으나 의대 입시제도의 본질을 모르는 누군가가 말로 했든 글로 적었든 우리 한인 커뮤니티에 그런 나쁜 정보를 제공한 듯 싶은데 그건 옳지 않은 정보이니 절대로 참고하지 말기 바란다.

의대 지원서 중 일차 지원서에 해당하는 AMCAS Application을 작성하다 보면 지원학생의 Biographic Information에 관해 묻는 섹션이 있는데 여기서 학생의 성별이나 국적 그리고 생년월일 등 자세한 정보를 요구하고 있다. 하물며 지원자의 성별도 2017년도 의대 신입생을 선발하는 과정까지는 지원서에서 단순히 생물학적 성별만을 묻는 Sex라는 질문에 대해 Male 혹은 Female이라는 답변만을 요구했는데 2018년도을 의대 신입생을 선발하는 과정부터는 지원서에서 생물학적 성별과 사회적 성별 두가지에 관해 Sex 및 Gender라는 별도의 질문을 통해 출생시의 성별 뿐 아니라 학생 스스로 자신을 어떤 성별로 인식하며 살아가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 섹션에서는 출생지도 묻고 인종에 관해서도 묻고 있는데 인종에 관한 질문은 Racial Self-Identification이라는 항목에서 Asian 그리고 Korean 이란 답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이 항목을 답을 하지 않고 빈 칸으로 제출하면 유리하다고 잘못된 생각을 하지 말라는 조언을 하고 있다. 왜냐하면 원서를 제출하는 학생과 부모에 관해 매우 자세하게 질문을 하고 있는 의대 지원서를 작성하면서 인종에 대한 질문 하나를 대답하지 않는다고 의대 입시에서 가장 경쟁이 심한 동양계 학생의 집단에서 갑자기 경쟁이 덜 심한 다른 인종으로 탈바꿈되어 선별과정을 거치지는 않게 될 뿐 아니라 오히려 제대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불성실한 지원자로 인식되어 불이익을 당할 가능성만 생기게 된다. 학생의 인종을 알아볼 수 있는 다른 항목의 질문들은 부모에 대한 정보에도 포함되어 있고 단순히 이름만 봐도 알겠지만 부모의 최종 출신학교 등을 통해서도 알 수 있게 된다. 태어난 지역과 어린 시절 자랐던 지역을 따로 질문하는 것도 학생을 좀 더 잘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부이고 언어능력에 대해서 묻는 것도 인종과 관계가 있는 항목이다. 그럴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혹시라도 이 모든 질문에 대해 제대로 답을 하지 않고 자신이 동양계라는 것을 재주껏 잘 감추어서 인터뷰에 초대받은 학생이라면 인터뷰에서 그 부분에 대해 확인하는 과정이 있을 것이 확실하니 굳이 불성실한 지원자로 낙인 찍힐 것까지 감수해 가면서 자신의 인종을 감추려는 헛된 노력은 시작도 하지 말라고 권하는 것이다.

지난 주에 소개한 722편에서는 Affirmative Action의 중단이 의대 입시에 미칠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필자의 의견을 피력했는데 이를 뒷받침 하듯 이번 주초에 미국 의대연합회 AAMC의 Senior Director 인 Geoffrey Young 박사가 AAMC의 공식입장은 앞으로도 계속 의대 및 레지던시 교육과정의 인종 다양성 확보를 위해 지금과 마찬가지로 개개인의 성장과정과 인생경험을 선발기준의 중요한 척도로 삼겠다는 발표를 했다. 지난 주에도 강조했듯이 대학 입시와 달리 의대 입시에서는 Racial Diversity를 충족시켜야 하는 필요성 때문에 인종별로 조금은 다른 기준이 적용되어 왔고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다. 현재 50대 이상의 Korean American 의사들이 의대에 진학할 때 요즘의 Korean American 학생들과는 전혀 다른 입시 기준이 적용되어 조금은 수월하게 의대에 입학했기에 오늘날 한인사회가 그나마 이정도의 의료혜택을 받으며 살 수 있는 것을 생각한다면 한인 학생들보다 학습능력이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인종의 학생들 중에도 의대에 진학하는 학생이 존재해야 그들의 커뮤니티도 같은 언어로 편하게 진료를 받거나 유사한 문화적 사고방식을 토대로 서로 이해하면서 공감하는 의료혜택을 받으며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런 다양성 확보는 단순히 한가지 사실에만 근거해서 결정되지 않고 복합적 요소들을 고려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한인들에게 매우 흔한 김이박이라는 성을 가진 학생이더라도 태어나기를 남미에서 태어나고 자란 후에 청소년기에 미국으로 이주하였기에 집에서는 한국어를 사용했으며 어려서는 스패니쉬를 주로 사용했고 미국에서는 당연히 영어를 사용하며 살아가고 있다고 소개할 수 있는 학생이라면 단순히 동양계 학생이라고 분류되지는 않을 것이다. Language Information 이라는 항목에서는 사용가능한 언어의 수준만 묻는 것이 아니라 해당 언어에 대해 Use In Childhood Home 이라는 질문도 함께 하고 있으므로 어려서 집에서 주로 사용했던 언어에 대해서도 정확한 이해를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바로 이렇게 모든 환경들과 학생의 인생스토리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질문들이 AMCAS Application에 들어있는데 단순히 자신의 인종에 대해서만 대답하지 않으면 유리하다는 생각은 매우 위험하고 유치한 발상이 아닐 수 없다. 게다가 정직성과 신뢰성에 대해 이차 지원서와 인터뷰에서 매우 꼼꼼하게 확인을 하는 과정도 기다리고 있는데 자신의 인종조차 밝히지 않겠다는 마음가짐으로 임해서는 절대로 의대 입시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어려울 것이고 그런 학생은 의사가 되지 않는 것이 우리 사회를 위해 더 나은 일이라고 믿는다.

자기자신이 갖고 있는 장점을 확실히 알고 이를 충분히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성공전략이라는 믿음을 갖고 자신을 사랑하며 매순간을 보내기를 권한다.

남 경윤 / 의대 진학 전문 멘토
201-983-2851
kyNam@GradPrepAcademy.com

[744] 12월이 되었으니 이제 의대입시 인터뷰는 마무리 단계인가요?

12/01/2023

2023년이 한달 밖에 남지 않은 시점이 되니 이번 사이클에 의대에 도전하고 있는 학생들과 가족들은 마음이 바빠지고 있다. 하지만 연말이 되었다고 해서 입시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생각할 필요는 없다는 사실을 전하고 싶고 아울러 지금 이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는지가 이번 사이클의 의대입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끝까지 긴장을 늦추지 않아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
컴퓨터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인간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인공지능을 의미하는 AI(Artificial Intelligence)가 우리 인류의 삶을 편리하고 풍요롭게 만들어 줄 지 아니면 인류의 미래에 큰 위협이 될 지를 단언할 수는 없지만 ChatGPT가 대중에게 소개된 이후로 그 논쟁은 더욱 거세지고 있으며 의대에 진학하기 원하는 자녀를 둔 가정에서는 과연 이 새로운 기술이 의사라는 직업에 어떤 영향을 줄 지에 대해 큰 관심을 갖게 하므로 오늘날 의학계가 AI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소개하여 각 가정에서 제대로 된 예측과 판단을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요즘은 의대에 전액 장학금을 받으며 진학한 학생이 있다고 하면 대부분의 한인 가정에서는 익숙하게 받아들이는 공공연한 사실이 되어 있지만 불과 3년전만 해도 그런 내용을 소개하면 없는 말을 지어낸다는 악성 댓글을 여러 차례 받곤 했다. 그렇다고 전액 장학금을 받으며 의대에 진학하는 일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당연한 혜택이라는 의미는 아니지만 최근 나름대로 열심히 준비하는 우리 한인 프리메드 학생들에게는 전액 장학금을 받으며 의대에 진학하겠다는 새로운 목표가 생겼다는 반가운 소식이 자주 들려온다. 하지만 제대로 된 방향설정을 하지 못하면 오히려 불필요한 영역에서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하는 일이 발생하는 안타까운 일이 생길까 우려가 되어 최근 한 가정과 나눈 대화를 소개하여 다른 한인 가정들에게도 주의를 당부하고자 한다. ...
우리가 일반적으로 의대라는 표현을 할 때는 MD School을 의미하지만 미국에는 MD School 외에 DO School이라는 의대도 존재하기에 미국의 프리메드 학생들은 한국의 학생들보다 의대 진학에 있어 선택의 폭이 더 넓다. 하지만 MD School과 DO School의 차이점들 중에 학생들이 가장 큰 관심을 보이는 부분은 아무래도 졸업 후에 전공의 수련을 받을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선택할 때 불이익을 받지 않을지에 대한 우려이니 실제 자료를 소개하며 정확한 사실을 알려서 불필요한 걱정을 없애고자 한다. ...
매년 1월부터 9월 사이에 약 30회 정도 제공되는 MCAT을 보기위해서는 시험을 신청하는 과정도 쉽지 않지만 시험을 준비하다 계획을 수정해서 나중에 시험을 보기로 결정하는 학생이 많기로도 잘 알려진 시험이므로 오늘은 시험일정을 변경해야만 할 때 참고하면 도움이 될 사항들에 대해 소개하겠다. ...

FAQ

FAQ

FAQ

Receive the latest column

Subscribe To Our biweekly Newsletter

구독신청(무료) 하시면 미국에서 의대보내기, 세미나안내 등 다양한 정보를 직접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