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학생이 평균 30곳 정도의 의대에 지원을 하는 것도 이젠 옛날 얘기가 되어 가고 있듯이 점점 치열하게 변해가는 의대 입시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매우 많은 의대에 지원을 하는데 그러다 보면 자연스럽게 많은 불합격 통보를 받을 수 밖에 없다. 아무리 강심장인 학생이더라도 불합격 통보를 받고 속이 좋을 수는 없고 특히 마음이 약한 학생들은 불합격 통보를 반복적으로 받게 되면 자아상실까지도 경험하곤 하니 “모든 의대가 너를 좋아할 필요는 없다.”는 얘기를 자녀들에게 미리 주지시켜 주면 도움이 되겠다. 또한 학생들이 받아보는 불합격 통보에는 어떤 내용이 전해지는지 부모들이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될 듯 싶어 소개한다.

일단 불합격 통보를 보내주는 의대는 그나마 친절한 학교에 속한다는 점을 인지해야 하겠다. 즉, 끝까지 어떤 결정도 알려주지 않는 의대도 제법 많다는 사실은 개선되어야 할 부분인데 그나마 요즘은 제법 많은 의대들이 불합격 통보를 이메일로 보내주고 있다. 이번 사이클에 시카고 의대가 보낸 불합격 통보 이메일 내용은 다음과 같다. “Dear 홍 길동: The Admissions Committee has completed its review of your application and has unfortunately decided not to pursue your candidacy further. We would like to thank you for your interest in the Pritzker School of Medicine and the effort you invested in your application. Every year we receive many applications from highly qualified applicants such as you, but we are limited in the number we are able to interview. So, while we know this outcome may be disappointing, we hope that you understand that our decision is a reflection of a very large pool of accomplished candidates and not a judgment on your abilities. We wish you all the very best as you pursue your interests in medicine. Sincerely, Keme Carter, MD/Associate Dean for Admissions/Associate Professor of Medicine” 입학사정위원회에서 홍 길동 학생의 지원서를 검토한 결과 아쉽지만 더 이상 고려대상이 아니라는 내용을 가능한 친절한 매너를 유지하며 알려주고 있다. 실망스럽겠지만 매년 학생처럼 열심히 준비한 훌륭한 지원자들 중에 소수의 학생만 인터뷰에 초대하고 있다는 내용과 함께 이 불합격 결과가 학생의 능력에 대한 판정은 아니라며 의학을 공부하고자 하는 과정에 행운이 깃든다는 마무리를 하고 있다. 이 내용은 불합격 통보를 해주는 친절한 의대들의 교과서적인 통보내용이라고 알고 자녀들과 대화를 하면 큰 무리 없을 것이다.

이 내용 외에 추가로 전달되는 내용은 결정에 대한 질문은 받지 않겠다는 단호한 문구도 있고 아니면 그 정반대로 결정에 대한 질문이 있다면 개인적으로 만나서 설명을 해주겠다는 믿기 어려울 정도로 우호적인 문구도 있는데 이런 우호적인 문구를 적어 보내는 의대는 그리 많지도 않고 한번 그렇게 말했다가 다음 해부터 그런 문구를 삭제한 의대도 있는데 그나마 꾸준히 유지하고 있는 의대라면 아마 케이스 웨스턴 의대가 유일해 보인다. 그렇다고 해서 불합격 통보를 받자마자 개인적으로 만나서 어떤 점이 부족해서 불합격 처리를 했는지 알려주지는 않고 입시가 마무리 되는 시점을 특정해서 그때 만나서 분석과 조언을 주고 있다. 물론 그도 매우 감사한 처사이지만 적어도 해당 사이클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건 사실이다. 올해는 치대 중에도 불합격 통보를 하며 우호적인 문구를 적어 보낸 학교가 있으므로 그 내용도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Dear 홍 길동, Members of the Pre-doctoral Admissions Committee at Boston University Henry M. Goldman School of Dental Medicine have carefully reviewed your application for the DMD program for the 2022-2023 application cycle. We regret that we have removed you from the pool of applicants that we are considering for a position in the class entering in 2023.  Each year the number of qualified applicants far exceeds the limited number of positions in the first year class. Consequently, the selection process omits some very talented and capable people. If you have questions about your application, you should feel free to contact Assistant Dean Robert H. Kasberg by e-mail after the 1st of April 2023. Give him several dates and times that are convenient for you to speak to him, and he will schedule a tele-conference with you for later in April or in May. E-mail messages and phone calls prior to the 1st of April 2023 will remain unanswered. We appreciate your interest in the dental profession and in Boston University and we wish you the very best of personal success in all your future endeavors. Sincerely, DMD Admissions, on behalf of Robert Kasberg Jr, PhD/Assistant Dean of Admissions/Boston University Henry M. Goldman School of Dental Medicine”
올해 보스턴 치대가 학생들에게 보낸 불합격 통보 이메일에서도 앞에서 소개한 모든 내용, 즉 더 이상 고려대상이 아니라는 내용을 전달하고 있지만 끝부분에서 특정 인물의 이름과 시기를 지정하며 궁금한 점에 대해 질문을 해도 좋다고 전하고 있다. 4월 1일 이후에 입학처장인 Robert H. Kasberg 교수에게 이메일로 연락을 해서 약속을 잡으면 화상통화로 4월말에서 5월 사이에 만나서 조언을 해주겠다는 내용인데 4월 1일 이전에 전화나 이메일로 연락을 하면 답을 주지 않겠다는 내용도 명확히 밝히고 있으니 참고하자.

아무리 친절해도 불합격 소식은 마음을 상하게 하긴 하지만 내가 지원한 모든 학교가 나를 좋아해줄 일은 거의 없다고 인정하는 것이 성숙한 마음가짐이고 현실이니 나를 좋아해 주고 나도 좋아할 만한 학교에서 인터뷰 초대를 받으면 그 준비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 최선의 입시전략이라고 믿는다.

남 경윤 / 의대 진학 전문 멘토
201-983-2851
kyNam@GradPrepAcademy.com

[744] 12월이 되었으니 이제 의대입시 인터뷰는 마무리 단계인가요?

12/01/2023

2023년이 한달 밖에 남지 않은 시점이 되니 이번 사이클에 의대에 도전하고 있는 학생들과 가족들은 마음이 바빠지고 있다. 하지만 연말이 되었다고 해서 입시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생각할 필요는 없다는 사실을 전하고 싶고 아울러 지금 이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는지가 이번 사이클의 의대입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끝까지 긴장을 늦추지 않아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
컴퓨터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인간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인공지능을 의미하는 AI(Artificial Intelligence)가 우리 인류의 삶을 편리하고 풍요롭게 만들어 줄 지 아니면 인류의 미래에 큰 위협이 될 지를 단언할 수는 없지만 ChatGPT가 대중에게 소개된 이후로 그 논쟁은 더욱 거세지고 있으며 의대에 진학하기 원하는 자녀를 둔 가정에서는 과연 이 새로운 기술이 의사라는 직업에 어떤 영향을 줄 지에 대해 큰 관심을 갖게 하므로 오늘날 의학계가 AI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소개하여 각 가정에서 제대로 된 예측과 판단을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요즘은 의대에 전액 장학금을 받으며 진학한 학생이 있다고 하면 대부분의 한인 가정에서는 익숙하게 받아들이는 공공연한 사실이 되어 있지만 불과 3년전만 해도 그런 내용을 소개하면 없는 말을 지어낸다는 악성 댓글을 여러 차례 받곤 했다. 그렇다고 전액 장학금을 받으며 의대에 진학하는 일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당연한 혜택이라는 의미는 아니지만 최근 나름대로 열심히 준비하는 우리 한인 프리메드 학생들에게는 전액 장학금을 받으며 의대에 진학하겠다는 새로운 목표가 생겼다는 반가운 소식이 자주 들려온다. 하지만 제대로 된 방향설정을 하지 못하면 오히려 불필요한 영역에서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하는 일이 발생하는 안타까운 일이 생길까 우려가 되어 최근 한 가정과 나눈 대화를 소개하여 다른 한인 가정들에게도 주의를 당부하고자 한다. ...
우리가 일반적으로 의대라는 표현을 할 때는 MD School을 의미하지만 미국에는 MD School 외에 DO School이라는 의대도 존재하기에 미국의 프리메드 학생들은 한국의 학생들보다 의대 진학에 있어 선택의 폭이 더 넓다. 하지만 MD School과 DO School의 차이점들 중에 학생들이 가장 큰 관심을 보이는 부분은 아무래도 졸업 후에 전공의 수련을 받을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선택할 때 불이익을 받지 않을지에 대한 우려이니 실제 자료를 소개하며 정확한 사실을 알려서 불필요한 걱정을 없애고자 한다. ...
매년 1월부터 9월 사이에 약 30회 정도 제공되는 MCAT을 보기위해서는 시험을 신청하는 과정도 쉽지 않지만 시험을 준비하다 계획을 수정해서 나중에 시험을 보기로 결정하는 학생이 많기로도 잘 알려진 시험이므로 오늘은 시험일정을 변경해야만 할 때 참고하면 도움이 될 사항들에 대해 소개하겠다. ...

FAQ

FAQ

FAQ

Receive the latest column

Subscribe To Our biweekly Newsletter

구독신청(무료) 하시면 미국에서 의대보내기, 세미나안내 등 다양한 정보를 직접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